강경화 “한미, 남은 이견 조율 중…정상회담서 생산적 성과 기대”
美비자 문제엔 "투자자들, 입국절차 신뢰성 요구할 권리 있어"
강경화 주미대사는 22일(현지시간) 한미 간 막바지 무역 협상과 관련해 “양측이 남은 이견을 조율하고 있다”며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생산적인 결과가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 대사는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월 25일 첫 정상회담 이후 안보는 물론 무역·투자 패키지 등 다양한 후속 논의를 이어왔다”며 “두 정상이 매우 생산적인 두 번째 회담을 갖게 되길 크게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간 협상과 관련해 “무역과 안보 양 측면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세계 안보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우리는 이에 적응하고 한발 앞서 나아가야 한다”며 “한미 동맹을 안보뿐 아니라 경제·기술 협력까지 포괄하는 미래지향적이고 전략적인 동맹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강 대사는 APEC 통상장관 회의에서 채택된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무역환경 조성’ 공동성명에 대해서도 “매우 고무적인 진전”이라며 “양자 간 관세 문제는 여전히 쉽지 않지만, 각국이 같은 방향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한편 최근 조지아주 한인 구금 사건을 계기로 불거진 비자 문제에 대해 강 대사는 “한미 양국이 워킹그룹을 구성해 두 차례 회의를 열었으며, 단기적 조치뿐 아니라 장기적 제도 개선까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주한 미국대사관 내에 한국 투자자 및 파견 근로자를 위한 전담 창구 설치에 합의하는 등 가시적인 진전이 있다”며 “투자자들이 근로자 파견과 프로젝트 운영에 필요한 절차의 신뢰성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 의회에 계류 중인 한국인 전문인력 비자(E-4)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기대한다며, “한국 정부가 준비 중인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감안할 때, 투자자들은 안정적 입국 절차와 근로 권한에 대한 확실한 보장을 요구할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 정부가 최근 한화오션 자회사 5곳에 제재를 가한 데 대해 “우려할 만한 사안”이라고 밝히며 “서울과 베이징이 그 영향에 대해 긴밀히 논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강 대사는 “중국은 한국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파트너이자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이라며 “수십 년간 쌓아온 긴밀한 관계를 앞으로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