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 러시아 공급 감소로 연료가 급등 우려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 여파…“국내 재고 한 달치뿐”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이 러시아의 정유시설 피해로 인한 공급 감소로 연료 가격 급등 위기에 놓였다.
2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시르가크 오모로프 키르기스스탄 반독점규제청 부청장은 “러시아의 연료 공급이 줄어들면서 국내 연료 가격이 향후 몇 주 안에 최대 15%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정유시설을 잇달아 드론으로 공격하면서 발생한 도미노 효과”라고 설명했다.
오모로프 부청장은 정부가 러시아 국영 석유기업 로스네프트 등과 협력해 가격 급등을 막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8월 이후 러시아의 정유소 등 에너지 인프라 공격을 강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러시아의 정유 능력은 최근 몇 주 사이 최대 20%까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정부는 연료난 가능성에 대비해 연료 수출 제한 조치를 올해 연말까지 연장했다.
러시아산 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키르기스스탄은 예상치 못한 타격을 받고 있다. 현지 정부 관계자들은 “국내 연료 재고가 한 달 치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수도 비슈케크의 일부 주유소에서는 이번 주 들어 휘발유가 일시적으로 품절되기도 했다.
이번 연료난은 내달 총선을 앞둔 키르기스스탄 정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연료 가격 상승이 국민 불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키르기스스탄 정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이후 휘발유 가격은 8.8%, 경유 가격은 6.3% 상승했다.
사디르 자파로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친러 성향을 유지해왔으며 일부 현지 은행은 러시아의 서방 제재 회피를 도운 혐의로 제재를 받은 상태다.
러시아 경제와 긴밀히 연결된 중앙아시아 5개 옛 소련 국가들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경제적·정치적으로 큰 영향을 받아왔다. 이웃국 카자흐스탄은 최근 물가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연료 및 공공요금 전면 가격 통제를 시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