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한미 관세 합의 환영…불확실성 해소·첨단산업 협력 강화 기대”
“대미 무역 안정성 높이고 상호 국익 증진 계기…자동차·반도체 등 경쟁력 제고”
국내 경제계가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주요 경제단체들은 이번 합의가 교역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첨단산업을 중심으로 한 양국 간 협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30일 “양국이 관세 협상과 대미 투자에 대한 최종 합의를 도출한 것을 환영한다”며 “이번 합의는 양국 간 교역·투자 환경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첨단 분야에서 상호 국익을 증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총은 이어 “정부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경제·통상·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과 소통을 통해 한미 동맹이 더욱 공고해지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국무역협회도 “우리 기업들이 예측 가능한 통상 환경 속에서 안정적으로 대미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투자 부문에서는 연간 200억 달러 한도 설정과 상업적 합리성 원칙 도입 등 외환 안정을 위한 장치가 마련돼 양국의 지속 가능한 협력 기반이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무역협회는 또 “이번 합의가 반도체·AI·바이오·조선 등 첨단 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과 서비스 산업까지 포괄하는 ‘한미 공동성장’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자동차, 부품,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서 한국 기업들이 경쟁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관세 조건을 확보하게 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금융투자 자금이 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점도 시장 안정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 역시 “관세 협상 타결로 대미 무역과 투자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며 “첨단산업 투자, 기술·인적 교류 등 다양한 협력이 한 단계 더 진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미 양국은 전날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금 중 2,000억 달러를 현금 투자하되, 연간 투자 한도를 200억 달러로 제한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상호 관세 세율은 15%로 유지하고 자동차 관세는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다. 반도체는 대만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