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를 허용해야 미래가 열린다”…李대통령, R&D 대전환 의지 강조
대전서 과학기술 정책 국민보고회…“과학은 국가의 흥망 좌우하는 핵심 축”
이재명 대통령이 국가 연구개발(R&D) 정책 기조를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과학기술 정책 국민보고회에서 “지난 정부 시기 축소됐던 R&D 투자를 원상 회복하는 것을 넘어, 국가적 역량을 더 크게 쏟아붓겠다”고 밝혔다.
그는 “대부분이 예상하지 못했을 수준까지 R&D 예산을 증액했다”며 “이는 미래를 향한 전략적 투자”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도 R&D 예산을 올해 대비 19.3% 확대된 35조4천억 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단일 연도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이 대통령은 한국 사회가 빠르게 선진국 반열에 오른 배경을 ‘교육과 연구에 대한 집념’에서 찾았다.
그는 “과거 선배 세대는 자녀 교육을 위해 논과 밭을 팔고 허리띠를 졸랐다. 그 집념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며 “과학에 관심을 가진 나라는 흥했고, 이를 외면한 나라는 쇠퇴했다. 국가는 물론 개인과 기업도 마찬가지로 공부해야 산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 R&D 구조가 ‘실패를 두려워하는 시스템’이라는 점을 직설적으로 지적했다.
“우리나라 R&D 성공률이 90%가 넘는다고 한다. 연구는 본래 어려운 길을 개척하는 작업인데, 실패가 없다면 그것은 진정한 연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어 “실패를 용인해야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실패가 있어야 혁신이 나오고, 그래야 나라가 흥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정부 당시 KAIST 졸업식에서 R&D 예산 삭감을 비판하다 퇴장당한 학생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이 대통령은 “그 학생이 오늘 행사장에 왔다면 꼭 만나보고 싶었다”며 “연구 현장에서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청년들의 억울함을 알고 있다. 이제는 그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자신이 “경제적 사정 때문에 정치의 길에 들어서지 않았다면 미생물학이나 원자핵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며 웃음을 자아냈다.
“정치판은 전쟁터 같지만, 그래도 해야 할 일이니 버티고 있다”고 말해 현장에 있던 과학기술인들의 공감을 끌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