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中대사 “한중관계, 제3자 영향 받아선 안 돼”…미국 견제 메시지
“반중 시위 근본 해결 필요”…“日 총리 발언, 수용 어려워”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한중 관계는 외부 세력의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한다며 ‘전략적 자주성’을 강조했다.
다이 대사는 11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 싱크탱크 대화 포럼’(글로벌전략협력연구원·중국 글로벌거버넌스연구원 공동 주최) 축사에서 “중한 관계는 제3자를 겨냥하지도, 제3자의 영향을 받아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은 확고한 전략적 자주성으로 외부 간섭에 대응해야 한다”며 “일방적 패권주의, 보호주의, 디커플링은 한중 양국의 공동이익을 해치는 만큼 함께 반대하고 국제적 공정과 정의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한중 관계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견제와 함께,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보를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다이 대사는 또 “시진핑 주석의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 참석은 한국의 회의 개최에 대한 중요한 지지”라며 “경주선언 협의 과정에서도 중국은 한국에 소중한 지지를 보냈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국가가 WTO(세계무역기구)와 IMF(국제통화기금)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반대했다며, 중국과 한국의 입장이 미국과 달랐음을 시사했다.
이어 “한국이 주최국이 아니었다면 중국도 그리 강력히 지지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한국도 내년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APEC을 지지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다이 대사는 “미국이 벌인 관세·무역·기술 전쟁은 중국에 충격을 주지 못했다”며 “오히려 중국은 자주적 발전과 개방을 확대하며 더욱 강건해지고 자신감이 넘치게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이 중국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 강대국의 책임을 다하고 양국 정상 간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그는 한국 내 일부 반중 시위에 대해 “극우 세력이 악성 루머를 퍼뜨리고 반중 시위를 여는 것은 한중 우호관계를 해치고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며 “한국 정부가 적절한 조치를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다이 대사는 최근 대만 유사시 집단자위권 행사 가능성을 언급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발언에 대해 “중국으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렵고, 중일 관계 발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했다.
이날 포럼 패널로 참석한 션웨이중 중국 글로벌거버넌스연구원 부원장도 “대만 문제에 대해 한국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지만, 일본은 매우 다르다”며 “두 나라의 입장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