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G7 마지막 ‘무관광세 도시’ 지위 내려놓나…관광세 도입 임박
연간 최대 4천600억 원 세수 전망…시당국 “도시 경쟁력 강화” vs 업계 “세금 위의 세금” 반발
영국 런던이 조만간 관광세를 도입할 전망이다. G7 주요 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관광세가 없던 런던이 변화 조짐을 보이면서 관광업계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레이철 리브스 재무장관은 분권화 및 지역사회 권한 강화 법안을 통해 각 지방정부에 관광세를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계획이다.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런던 역시 관광세 도입이 가능해진다.
사디크 칸 런던시장 역시 오랫동안 관광세 도입 필요성을 주장해온 인물이다. 칸 시장 측은 구체적 계획에 대한 언급은 피했지만 관광세가 시행될 경우 도시 경제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런던시는 “합리적인 수준의 관광세는 런던을 세계적인 관광·비즈니스 도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파리, 뮌헨, 밀라노, 토론토, 뉴욕, 도쿄 등 G7 주요 도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관광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영국 내에서는 스코틀랜드와 웨일스가 최근 관련 제도를 도입한 바 있다.
징수 방식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2017년 방문객 기준으로 1인당 하루 1파운드를 부과하면 연간 약 9,100만 파운드(약 1,753억 원), 숙박비의 5%를 세금으로 매길 경우 약 2억4,000만 파운드(약 4,621억 원)를 걷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런던시는 인기 관광지 특성상 관광세 도입이 수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인용했다.
반면 관광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런던 호텔 산업을 대표하는 ‘영국 호스피탈리티’의 케이트 니콜스 회장은 “이미 영국의 부가가치세는 20%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관광세는 “세금 위에 또 세금을 얹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미 높은 세금을 부담하는 고객들이 더 멀어지면, 결국 일자리와 성장, 투자가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