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OECD-PIIE 콘퍼런스…"한국, AI 글로벌 공급망서 유리한 위치"

인사말 하는 마티아스 코만 OECD 사무총장 (출처: 연합뉴스)
인사말 하는 마티아스 코만 OECD 사무총장 (출처: 연합뉴스)

마티아스 코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은 27일 “인공지능(AI)은 향후 10년간 주요 7개국(G7)의 노동생산성 성장률을 매년 0.2∼0.4%포인트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코먼 사무총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세계 경제질서 재편: 무역, AI, 금융회복력의 해법 모색’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경제인협회(FKI), OECD,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가 공동 주최했다.

그는 “AI 도입이 완만하게 진행된다는 시나리오만 가정해도 이 정도의 성장률 상승이 가능하다”며, “OECD 연구 결과, AI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20개국(G20) 경제에도 유사한 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디지털 인프라 강화, AI 인재 양성 등 관련 정책이 뒷받침된다면 노동생산성 증가폭은 최대 0.9%포인트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먼 사무총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학자들이 이미 AI 도입을 선도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이 지역의 지식노동자 절반 이상이 AI를 활용해 업무 절차를 자동화하고 있다”며 “이는 전 세계 평균(7%)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AI의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글로벌 공급망이 필수”라며 “이 점에서 한국은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OECD의 ‘디지털 무역 통합 및 개방성 지수’에서 한국은 세계 6위를 기록하고 있다”며 “이 같은 강점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들이 디지털·AI 기술 분야에서 더욱 활발히 도전하고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축사를 맡은 노건기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은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과 AI 혁명, 기후변화 등 복합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네 가지 정책 방향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개방적 다자협력 강화 및 다자무역체제 복원 ▲글로벌 공급망과의 전략적 무역 파트너십 확대 ▲AI 기술 도입과 정책 공유를 통한 무역 혁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노 실장은 “우리는 깊은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고 있지만, 역사 속 모든 위기에는 새로운 기회와 혁신이 있었다”며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의장국이자 중견국인 한국이 이번 회의를 통해 개방적이고 지속 가능한 글로벌 경제의 실질적 해법을 함께 모색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기념 촬영하는 한경협 국제 콘퍼런스 참석자들 (출처: 연합뉴스)
기념 촬영하는 한경협 국제 콘퍼런스 참석자들 (출처: 연합뉴스)

 

저작권자 © The Korea 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한경협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