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뷰 전석 기립으로 화려한 포문…새 캐스트 활약과 미장센 강화로 ‘데스노트 신드롬’ 재가동
뮤지컬 ‘데스노트’가 다시 한 번 관객들의 숨을 멎게 할 무대로 돌아왔다. 지난 10월 14일부터 19일까지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진행된 프리뷰 공연은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 속에 성황리에 막을 내렸으며, 이어 21일부터 본 공연이 시작되며 본격적인 시즌2 서막을 열었다.
이번 시즌은 캐스팅 변화와 연출 업그레이드를 통해 작품의 서사를 더욱 깊고 입체적으로 드러낸 것이 특징이다.
관객들은 “이전 시즌과는 또 다른 감정 결을 가진 무대”, “한계를 넘어선 몰입감” 등 높은 평가를 아끼지 않았다.
‘데스노트’는 동명의 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하며, 죽음을 부르는 노트를 손에 넣은 천재 고교생 ‘라이토’와 그를 추적하는 명탐정 ‘엘(L)’의 두뇌 대결을 그린 작품이다.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음악은 클래식, 팝, 록을 넘나들며 극을 압도하며, 무대에서는 LED 활용과 400회 이상의 정교한 큐 시그널이 빛과 어둠의 공간을 유려하게 교차시킨다.
이는 단순한 세트 구현을 넘어 감정의 무게를 직접적으로 시각화하는 무대 미학을 완성한다.
이번 시즌에서 새롭게 ‘라이토’를 맡은 조형균·김민석·임규형은 각기 다른 해석으로 캐릭터의 냉철함과 인간적인 틈을 다양한 결로 드러냈다.
특히 김민석의 차갑고 단단한 보컬 라인, 임규형의 감정 곡선을 따라가는 연기, 조형균의 밀도 높은 표현력은 관객들의 몰입을 강하게 이끌어냈다.
‘엘(L)’ 역에 합류한 김성규·산들·탕준상 역시 캐릭터의 개성과 심리를 정교하게 구축하며 단숨에 시선을 사로잡았다.
세 배우는 각기 다른 결의 ‘고독’, ‘집중’, ‘집요함’을 그려내며 서사에 무게감을 더했다.
또한, ‘렘’ 역의 이영미와 장은아는 깊고 무게감 있는 보컬과 내면을 찢어내는 감정 연기로 서사의 비극성을 극대화했다. ‘류크’ 역의 양승리와 임정모는 무대 위 에너지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율하며 작품 전반에 생동감을 불어넣었다.
‘미사’ 역의 최서연과 케이는 캐릭터의 밝음과 그림자, 사랑과 집착을 섬세하게 담아냈다.
관객들은 프리뷰 이후 “올 시즌, 제대로 미쳤다”, “심리전이 너무 치밀해서 숨 쉬는 것조차 잊었다”, “서사·연출·캐스팅 모두 정점 찍음” 등의 호응을 보였다.
신춘수 프로듀서는 “앞으로의 한국 뮤지컬은 콘텐츠로서 장기 공연 중심 구조가 자리 잡을 것”이라며 “이번 시즌은 새로운 연기 해석과 새로운 배우들을 기점으로 장기 공연 전략의 전환점”이라고 설명했다.
뮤지컬 ‘데스노트’는 2026년 5월 10일까지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공연되며, 티켓은 NOL 티켓 및 티켓링크에서 예매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