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수 부회장 “과거 복원 아닌 미래 혁신의 초석 될 것”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소기름)를 사용한 라면을 다시 선보였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행사를 열고 60여 년 전 한국 최초 라면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미식 라면을 공개했다. 이날은 ‘우지 파동’이 일어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다.
이번 행사는 삼양식품의 창업 역사와 인연이 깊은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열렸다.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1963년, 남대문시장에서 끼니를 해결하던 서민들을 위해 한국 최초의 라면을 개발한 바 있다.
새롭게 선보인 ‘삼양1963’은 당시 삼양라면의 핵심 재료였던 우지를 현대적 기술로 재해석해 사용했다. 삼양식품은 동물성 기름인 우지와 식물성 팜유를 혼합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풍미와 깊은 국물 맛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또 액상 수프와 후첨 분말·후레이크를 적용해 원재료의 풍미를 극대화했다. 사골육수를 기본으로 무·대파·청양고추를 더해 깔끔하고 얼큰한 맛을 완성했으며 큼직한 단배추·대파·홍고추를 동결건조 방식으로 담아 식감과 향을 살렸다.
삼양식품은 1989년 공업용 우지 사용 의혹으로 촉발된 이른바 ‘우지 파동’ 이후 모든 제품에서 우지를 제외하고 팜유만 사용해왔다. 당시 보건사회부는 삼양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지만 회사는 큰 이미지 타격을 입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우지는 삼양라면의 풍미를 완성하던 진심의 재료이자 삼양식품이 지켜온 ‘정직한 맛의 철학’의 상징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삼양1963’은 단순한 과거의 복원이 아니라 미래를 향한 도전의 시작”이라며 “한국 미식 문화를 세계로 확장하는 글로벌 식품기업으로서 또 한 번의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