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가 재확인…미 “국무부·에너지부와 공조하며 실질 협력 추진”

한미안보협의회의 확대회의, 악수하는 한미 국방장관. (출처: 연합뉴스)
한미안보협의회의 확대회의, 악수하는 한미 국방장관. (출처: 연합뉴스)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 추진을 공적으로 지지하며, 관련 절차와 기술 협력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는 한미동맹의 전략적 확장과 함께, 한국의 해양 억제 능력 강화가 미국의 인도·태평양 안보 구상과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4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 이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사업 관련 질의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 사항을 다시 확인한다”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 전력을 갖추는 것은 동맹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미 국방부는 관련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해 한국의 추진 과정을 최선의 방식으로 지원할 것입니다.”

헤그세스 장관은 핵추진 잠수함 사업이 단순 무기 도입이 아니라 국가 전략자산 체계 구축에 해당하는 만큼, 국무부와 에너지부 등 관련 부처가 함께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조를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 확대회의. (출처: 연합뉴스)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 확대회의. (출처: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 스스로의 방어 능력을 강화하길 원합니다. 대한민국은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가장 모범적인 국가입니다.”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사업은 대잠수함 작전 능력 확대, 원거리 작전 지속성 확보, 전략적 초계 역량 강화 등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북한 SLBM 탑재 잠수함 전력 확대에 대응하는 수중 억지력 확보 차원에서 핵심 사업으로 여겨진다.

또한 미국 측은 구체적인 절차적 단계나 기술 이전 범위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양국이 신뢰를 바탕으로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언급해, 실무 논의가 사실상 시작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 국방부 역시 이날 회의에서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연합방위태세 강화, 주요 전략자산 순환 배치 확대 등을 협의하며 한미 군사 협력이 양적·질적 고도화 국면에 접어들고 있음을 확인했다.

저작권자 © The Korea 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