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 과학기술 정책 국민보고회…“과학은 국가의 흥망 좌우하는 핵심 축”

과학기술인 간담회, 발언하는 이재명 대통령. (출처: 연합뉴스)
과학기술인 간담회, 발언하는 이재명 대통령. (출처: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국가 연구개발(R&D) 정책 기조를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7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과학기술 정책 국민보고회에서 “지난 정부 시기 축소됐던 R&D 투자를 원상 회복하는 것을 넘어, 국가적 역량을 더 크게 쏟아붓겠다”고 밝혔다.

그는 “대부분이 예상하지 못했을 수준까지 R&D 예산을 증액했다”며 “이는 미래를 향한 전략적 투자”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도 R&D 예산을 올해 대비 19.3% 확대된 35조4천억 원으로 편성해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단일 연도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이 대통령은 한국 사회가 빠르게 선진국 반열에 오른 배경을 ‘교육과 연구에 대한 집념’에서 찾았다.

그는 “과거 선배 세대는 자녀 교육을 위해 논과 밭을 팔고 허리띠를 졸랐다. 그 집념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며 “과학에 관심을 가진 나라는 흥했고, 이를 외면한 나라는 쇠퇴했다. 국가는 물론 개인과 기업도 마찬가지로 공부해야 산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 R&D 구조가 ‘실패를 두려워하는 시스템’이라는 점을 직설적으로 지적했다.

“우리나라 R&D 성공률이 90%가 넘는다고 한다. 연구는 본래 어려운 길을 개척하는 작업인데, 실패가 없다면 그것은 진정한 연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간담회 참석. (출처: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간담회 참석. (출처: 연합뉴스)

 

이어 “실패를 용인해야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실패가 있어야 혁신이 나오고, 그래야 나라가 흥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정부 당시 KAIST 졸업식에서 R&D 예산 삭감을 비판하다 퇴장당한 학생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이 대통령은 “그 학생이 오늘 행사장에 왔다면 꼭 만나보고 싶었다”며 “연구 현장에서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청년들의 억울함을 알고 있다. 이제는 그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자신이 “경제적 사정 때문에 정치의 길에 들어서지 않았다면 미생물학이나 원자핵물리학을 연구하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하며 웃음을 자아냈다.

“정치판은 전쟁터 같지만, 그래도 해야 할 일이니 버티고 있다”고 말해 현장에 있던 과학기술인들의 공감을 끌어냈다.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 (출처: 연합뉴스)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 (출처: 연합뉴스)

 

저작권자 © The Korea 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