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은 맥도날드도 부담…고소득층은 프리미엄 소비 늘어

맥도날드 로고 (출처: 연합뉴스)
맥도날드 로고 (출처: 연합뉴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어진 인플레이션에 최근 관세 부담까지 겹치면서 미국 내 소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LA)타임스는 맥도날드, 델타항공, 호텔 체인 등의 매출과 가계 연체율 자료를 분석하며 최근 소비 패턴 변화를 조명했다.

맥도날드의 2분기 매출은 68억4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지만 주 고객층인 저소득층의 매장 방문은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고소득층 방문은 늘었고 중산층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런 소비 양극화의 주된 원인으로 맥도날드 메뉴 가격의 급등을 꼽는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메뉴 가격은 평균 40% 상승했으며 빅맥 가격은 4.39달러에서 5.29달러, 10조각 맥너겟 세트는 7.19달러에서 9.19달러로 올랐다.

코로나19 당시 풀린 유동성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팬데믹 이후 급격히 오른 미국 기준금리는 저소득층의 구매력을 더욱 압박했다.

신용점수 분석 업체 밴티지스코어에 따르면 연 소득 4만5천 달러 미만 가구의 60일 이상 연체율은 팬데믹 이후 급증한 뒤 2022년 이후에도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하버드대 주택연구센터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약 2천260만 명의 임차인이 소득의 30% 이상을 주거비로 지출하며, 이는 2019년 대비 3.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저소득 임차 가구의 주거비를 제외한 잔여 소득 중앙값은 월 250달러로, 2001년보다 55% 감소했다.

반대로 고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소득을 바탕으로 소비를 이어가고 있다. 델타항공 2분기 자료에 따르면 일반석 매출은 5% 감소했지만 프리미엄 좌석 매출은 5% 증가했다. 코스타 조사에 따르면 포시즌스·리츠칼튼 등 고급 호텔은 올해 매출이 2.9% 늘어난 반면, 저가 호텔은 3.1% 감소했다.

밴티지스코어의 리카르도 반데보 이코노미스트는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저소득 가구는 매달 생계 유지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The Korea 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미국 #관세 #맥도날드